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UAM사례
- 기술경영
- 우버 매각
- 오로라자율주행
- CES2021
- smart_city
- 해외UAM
- 월마트드론
- 아마존자율주행
- 코로나백신피해야할대상
- 6G
- UAMT
- 로봇택시
- 로보택시
- Starlink
- UAM
- 에어택시
- 완전자율주행
- 자율주행차량
- 오로라이노베이션
- 스마트시티
- CES2021LG
- 코로나백신
- 자율주행오로라
- 자율주행
- 코로나백신대상
- 드론배송시작
- 자율주행택시
- 우버자율주행
- 김래아
- Today
- Total
목록Policy. Research (5)
RDX 공식블로그
게재일 2022년 8월 1일 22년 8월 1일 공업정보화부, 국가발전개혁위원회, 생태환경부는 산업분야 탄소피킹 시행계획을 발표했다. 계획의 전반적인 목표는 "14차 5개년 계획" 기간 동안 산업 구조 및 에너지 사용 구조의 최적화에서 긍정적인 진전이 이루어지고 에너지 및 자원 활용의 효율성 향상, 다수의 녹색 공장과 녹색 산업 단지 건설, 다수의 녹색 공장과 녹색 산업 단지를 건설, 다수의 에너지 절약 및 에너지 절약 기술을 개발, 시연 및 홍보 등이 있다. 중점임무와 주요조치 세부 내용은 아래와 같다: 二. 중점임무 4. 산업구조 조정 산업 구조의 최적화와 고도화를 추진하여, 에너지 소비량이 높고 배출량이 많은 저수준 프로젝트의 무분별한 발전을 제어하고, 녹색 저탄소 산업을 대대적으로 발전시킴: (1)..
- 上편 - 1. 사고데이터 분석을 위한 방법론(methodology)의 채택 2. 사고기여요인(Crash Contributing Factors)에 대한 선행연구 검토 3. 안전성 제고·사고저감을 위해 제안되었던 대응책(조치) 검토 - 下편 - 4. 사고의 원인(Cause)과 기여요인(contributing factors) 5. 사고심각도 분석 : 방법론과 분석결과 6. 대응책(조치) 선행사계 검토 7. 대응책(조치)의 영향력 평가법 - 경제성을 중심으로 에서는 문헌연구를 통해 일반·트럭 교통사고의 분석을 위해 어떤 분석모델이 활용되었는지(1.), 사고기여요인으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2.), 사고저감을 위해 어떤 대응책들이 제시되었었는지(3.)를 알아보았다. 이와 같은 선행연구 검토를 통..
[ 요 약 ] ● 개요 플로리다 주 교통부는 대형트럭 교통사고의 패턴과 사고기여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고 경감을 위한 실질적인 대응책을 마련하기 위해 본 연구 프로젝트 「Large Truck Crash Analysis for Freight Mobility and Safety Enhancement in Florida」를 추진 ● 연구의의 플로리다 지역 화물이송의 85%를 차지하는 대형트럭은 교통사고 발생시 교통혼잡, 재산피해, 도로이용자의 부상·사망 뿐만 아니라 화물 지연에 의한 부가적인 운영비용, 생산성 감소에 따른 손실 등 지역경제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크게 미침, 이에 주 교통부는 대형트럭의 이동성과 안전성을 증진시켜 교통사고 발생에 의한 사회적 손실을 저감하기 위한 기반연구를 실시함 ● 연..

1. EU 유럽은 무엇이든, 우리 다 같이 '스마트하게' 라는 현재의 시퀀스에 가장 조직적이고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는 곳 중 하나입니다. EU에서는 과학기술이 우리의 삶에 미치는 영향과 중요성에 대해 오래전부터 깊이 인지해 왔으며,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경제 발전과 더 나은 사회로의 도약을 위한 혁신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과학기술에 대한 장기적이고 집중적인 지원을 시행하고 있으며, 이를 토대로 보다 민첩하고 상호 협력하는 스마트 시티 구현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1.1 Horizon 2020 유럽 여러 나라와 도시, 단체 및 기업에서는 스마트시티와 관련된 상당한 수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러한 스마트시티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상위 개념의 정책 프로그램 또한 매우 많습니다. 이 중에서 특히..

0. Prologue 길가에 세워진 가로등에 머지않아 큰 변신이 있을 전망입니다. 다부처 R&D 협업으로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에서 ‘스마트 도로조명 플랫폼 개발 및 실증연구’사업에 착수하여 오는 2023년까지 단순한 조명으로서의 기능 뿐만이 아닌 각종 도로환경 정보를 제공하는 똑똑한 가로등을 개발하고, 해당 인프라 구축을 위한 기술을 연구할 예정입니다. 이러한 도로조명의 변신이 가져올 도로는 어떻게 변하게 되고, 그런 도로 시스템이 구축된 도시는 우리에게 어떤 서비스를 제공하게 될까요? 이런저런 생각이 꼬리를 물고 물어 우리가 살고 있는 이 도시는 얼마나 스마트해질 것인지, 더 스마트해지기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지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미래는 과연 어떤 모습일까? 이 질문은 과거에도, 지금도 우..